애드센스 클릭이 있는데 수익이 왜 0달러일까요? 무효클릭일까요?
이 질문에 답하기 전에 먼저 광고 유형에 대해 살펴봐야합니다.애드센스 광고가 CPC와 CPM이 함께 적용되는 줄 알았어요. 하지만 CPC와 CPM 광고는 따로 존재하더군요.
CPC, CPM 용어가 익숙하지 않으신 분을 위해서 잠깐 설명하겠습니다.
CPM(Cost per Mille): cost per 1000 impressions약자라고도 불리웁니다. 1000회 노출되었을 때 지급할 금액을 기준으로 과금이 이루어져요.
CPC, CPM만 있으냐? 구글 애드센스 입찰 유형에는 Active View CPM와 CPE도 있어요. CPE는 생소하게 들릴겁니다. 어떤 용어인지 알아볼까요?
CPE(Cost Per Engagement): Engagement 약혼이라는 뜻도 있는데요, 참여라는 뜻도 있습니다. 그래서 구글은 참여당비용으로 해석하고 있어요. 사용자가 광고에 참여할 때 비용이 발생됩니다. 예를 들어서 광고 위에 마우스를 놓으면 진행 표시줄(progress bar)이 뜨면서 완료되면 광고가 보이는 경우를 본 적이 있을 겁니다.
예전에 박신혜 저기요 광고 많이 보시지 않았나요? 박신혜가 살찐(?) 이유가 야식 때문이라고 하죠? 이렇게 사용자가 광고에 참여할 때 과금이 이루어집니다.
질문#1: 1클릭이 생겼는데 예상 수입이 US$0.00 이예요. 뭐가 잘못되었나요?
답변: 예를 들어 CPC 가 US$0.45라면 1클릭했으면 US$0.45가 찍혀야 합니다. 하지만 그 광고가 CPC가 아닌 CPM이었다면 1클릭해도 수익이 생기지 않습니다.
질문#2: 뷰가 500이었는데 예상 수입이 US$0.00 이예요. 왜 그런거죠?
답변: 광고 대부분은 CPC입니다. CPC광고가 90%이면 CPM광고는 8%밖에 되지 않아요.
계산하기 좋게 CPM광고가 전체 10%라고 가정합시다
1000뷰 노출당 $0.03를 준다고 가정하겠습니다.
500뷰 중 CPM 광고(10%) -> 500*0.1 = 50뷰
50뷰가 나왔어요. 50뷰에 ($0.03/1000뷰)를 곱해줍니다.
50뷰 * 0.03/1000 = $0.002가 나와요.
US$0.00까지만 찍힙니다. 나머지는 짤려나간 겁니다. 그래서 0달러가 됩니다.
이해하셨나요?
이외에도 광고 유형에는 CPA, CPS, CPT, CPI가 있는데요, 마저 살펴볼까요?
CPS(Cost Per Sale): 상품구매, 유료 결제 및 가입 등에 대한 수수료를 받는 방식입니다. 대표적으로 링크프라이스가 있죠.
CPT(Cost Per Time): CPC에서 진화(?)한 방식인데요, 클릭한 후 체류시간에 따라 과금됩니다. 대표적으로 리더스 CPT가 있어요.
CPI(Cost Per Install): 프로그램이나 앱을 설치가 끝나면 수수료를 받는 방식입니다. 나우 마케팅이 이 광고 방식에 대한 특허를 가지고 있다고 하네요. 그래서 앱설치 대가로 현금이나 아이템을 지급하면 특허 침해에 해당한다고 합니다. "앱 다운로드하면 적립금" 이런 게 특허 침해라고 하네요.
"애드센스 클릭이 있는데 왜 수익이 0달러일까? 무효클릭?" 글로 시작했는데요, 이제 의문이 풀리셨나요? 이 글은 무효클릭에 대해서는 고려하고 있지 않습니다.
'IT > 애드센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애드센스 인벤토리 50% 확대로 잃어버린 수익을 찾자 (1) | 2015.05.19 |
---|---|
구글 애드센스 모바일 정책 위반 소개 (8) | 2015.04.30 |
애드센스 아직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콘텐츠가 없습니다 (0) | 2015.03.09 |
구글 애드센스 광고 3개 이상 정책위반? ADX만 있으면 가능 (3) | 2015.01.25 |
구글 애드센스 계정 정지 후 대체 광고 종류 및 소개 (39) | 2015.01.08 |